의대생 떠난 빈자리..정부, 편입학 확대 카드 '만지작'

원래 의대도 다른 학과처럼 자퇴나 성적 미달 등으로 학생이 줄면 편입학으로 충원할 수 있다. 하지만 의대는 이런 경우가 드물어 편입학 인원도 매우 적었다. 몇몇 대학이 한 자릿수 인원을 뽑거나, 아예 편입생을 안 뽑는 대학도 많아 전국적으로 매년 40~50명 정도만 의대 편입에 성공했다.
의대 편입은 2학년 이상 대학 과정을 마친 사람이면 전공과 상관없이 지원할 수 있다. 전문대를 졸업했거나 문과를 나왔어도 지원 가능하다. 그러나 보통 '생물, 화학 과목 일정 학점 이수' 같은 조건이 붙거나, 대학 자체적으로 생물, 화학 시험을 보기 때문에 쉽지 않다. 입시 업계에서는 서울 상위권 자연대 출신이 합격자의 70~80%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상위권 공대 출신, 문과 출신은 5%도 안 된다고 말한다.
의대 편입생 선발 방식은 대학마다 제각각이다. 생물, 화학 시험을 보는 곳도 있고, 공인 영어 성적, 학점, 면접만으로 뽑는 곳도 있다. 입시 전문가는 "의대 편입은 뽑는 인원이 워낙 적어서 치대, 약대 등 다른 편입도 같이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며 "경쟁률이 60대 1 정도인데, 합격자들은 대부분 토익 만점에 학점도 만점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편입에 성공하면 의대 본과 1학년부터 공부를 시작한다. 이전 대학을 3년 다녔든, 졸업했든 상관없이 의대에서는 본과 1학년생이 되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모든 의대가 생긴 결원만큼 편입생을 뽑을 수 없다. 교육부 규정에 따라 편입생 인원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대학 시설, 교수 수 등 4가지 조건을 기준으로 대학을 1~6등급으로 나누고, 등급에 따라 편입생을 뽑을 수 있는 인원에 차이를 둔다. 1등급 대학은 결원을 전부 채울 수 있지만, 6등급은 15%만 가능하다.
그래서 일부 대학들은 "올해 의대에서 대규모 제적이 발생하면 등급 상관없이 편입생을 다 뽑을 수 있게 해달라"고 교육부에 요청했다.
교육부가 규제를 풀면, 의대생들의 대규모 제적은 의대 편입을 노리는 수험생들에게는 뜻밖의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편입생들이 의대 공부를 제대로 따라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 시사픽커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